오늘의 아티클
데이터 시각화 101: ① 데이터 시각화는 왜 중요할까? | 요즘IT (wishket.com)
데이터 시각화 101: ① 데이터 시각화는 왜 중요할까? | 요즘IT
데이터의 양이 늘어나고 복잡해질 수록 데이터를 좀 더 쉽게 이해하고 인사이트를 발견하는 것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는데요. 데이터 시각화란 말 그대로 데이터에서 발견한 정보를 시각적으
yozm.wishket.com
아티클 요약
데이터 시각화의 중요성
- 우리는 시각적 정보를 다른 정보에 비해 빠르게 파악하고 받아들일 수 있음.
- 이에 다양한 데이터, 그리고 데이터가 주는 의미를 글로 제시하는 것 보다 시각적으로 제시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음. 아울러 전혀 새로운 관점 제공까지도 가능함.
- 즉, 데이터 시각화는 많은 양의 데이터와 정보를 담을 수 있음. 데이터 시각화는 누구나 이해가 가능함. 시각화된 정보 처리가 탁월함. 흥미로운 디자인으로 관심 도출 및 집중 가능.
- 결국 데이터 시각화는 올바른 의사결정을 위해 필요한 요소일 수 있음.
의사 결정에 도움을 주는 시각화
- 데이터 시각화는 많은 양의 데이터와 정보를 담을 수 있어 한눈에 많은 양의 데이터를 파악하고 큰 그림을 그릴 수 있다
- 데이터 시각화를 이해하는데 특별한 과학이나 통계 등의 교육이 필요하지 않다
- 데이터 시각화는 트렌트, 패턴, 아웃라이어 등을 직관적으로 파악해서 인사이트를 도출할 수 있도록 돕는다
- 데이터 시각화는 디자인으로 주제에 대한 관심을 끌고 집중을 보다 오래 유지할 수 있다
- 의사 결정자들에게 다소 생소하거나 관심이 적은 주제를 다룰 때도 도움이 됨
생각 정리
- 데이터 분석가라는 직군에서 데이터 분석 이후 이를 사람들에게 알리고, 그들에게 적절한 인사이트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시각화가 필수적이라고 생각함.
- 이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전달 할 수 있을까에 대한 디자인에 대한 고민도 필요하고, 이를 통해 내가 말하고자 하는 인사이트도 제공할 수 있어야 하겠음.
- 아직은 데이터 분석가 업무에서 해당 정보를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말할 수는 없으나, 데이터 시각화가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해서 다시 한 번 깨닫게 됨.
- 내가 분석한 데이터로 다른 사람들을 설득 또는 이해시키기 위해서 데이터 시각화만큼 좋은 것이 없다는 점 잊지 말자.
- 내가 작성한 논문에서 적절한 시각화를 썼다면 나 또한 내 논문을 이해하는데 더 도움이 되었을 거 같다
데이터 시각화 시리즈를 살펴보고 익히는 과정이 필요할 거 같다.
데이터 시각화 101: ②직관적인 데이터 시각화 만들기 | 요즘IT (wishket.com)
데이터 시각화 101: ②직관적인 데이터 시각화 만들기 | 요즘IT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전달하면 우리의 뇌는 빠른 속도로 많은 양의 정보를 처리할 수 있고, 데이터 테이블에 비해 트렌드나 패턴, 아웃라이어 등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데이터를
yozm.wishket.com
데이터 시각화 101: ③데이터 속 거짓말 발견하기 | 요즘IT (wishket.com)
데이터 시각화 101: ③데이터 속 거짓말 발견하기 | 요즘IT
간혹 직관적으로 이해된 시각화가 부정확한 정보를 전달하기도 하고, 시각적으로 오해를 불러일으키기도 합니다. 그 때문에 우리는 이러한 문제점이 왜 일어나는지 이해하고, 데이터 시각화
yozm.wishket.com
데이터 시각화 101: ④언제 어떤 차트를 사용해야 할까 | 요즘IT (wishket.com)
데이터 시각화 101: ④언제 어떤 차트를 사용해야 할까 | 요즘IT
데이터 시각화는 복잡한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쉽고 명확하게 표현하는 과정입니다. 그러나 실제로 시각화 작업을 시작할 때, 어떤 정보를 전달해야 하며 어떻게 효과적으로 시각화해야 할지 막
yozm.wishket.com
데이터 시각화 101: ⑤어떤 색을 어떻게 사용해야 할까? | 요즘IT (wishket.com)
데이터 시각화 101: ⑤어떤 색을 어떻게 사용해야 할까? | 요즘IT
색의 사용은 데이터 시각화에서 정보를 전달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색은 복잡한 데이터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사용자의 주의를 끌고, 정보를 명확하게 전달하
yozm.wishket.com
'아티클 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티클 스터디] 데이터 분석의 시작은 Business 다. (2) | 2024.10.01 |
---|---|
[아티클 스터디] SQL 가독성을 높이는 다섯 가지 사소한 습관 (5) | 2024.09.30 |
[아티클 스터디]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의 장점 (2) | 2024.09.26 |
[아티클 스터디] 확실히 알아두면 만사가 편해지는 머신러닝 10가지 알고리즘 (2) (0) | 2024.08.13 |
[아티클 스터디] 확실히 알아두면 만사가 편해지는 머신러닝 10가지 알고리즘 (1) (0) | 2024.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