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티클 스터디

[아티클 스터디] 데이터 분석의 시작은 Business 다.

뜌비뜌바밥 2024. 10. 1. 18:00

오늘의 아티클

데이터 분석의 시작은 Business다 | by Jeongmin Ju | Medium

 

데이터 분석의 시작은 Business다

안녕하세요. 저는 제약, 패션, 배달 산업에서 데이터 분석가로 근무하면서 산업별 회사의 비즈니스 모델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이번 글은 데이터를 분석하기에 앞서

medium.com


아티클 요약

첫 시작은 비즈니스
  • 목적 없이 데이터를 먼저 분석하지 않고, 우리 비지니스의 목표가 무엇인지를 설정한 후, 문제를 정의하고 목적에 맞는 문제 해결을 위한 데이터를 찾아야 함
  • 결국, 비즈니스 → 프로덕트/서비스 → 데이터 순이어야 함
비즈니스의 종류


[마켓 플레이스]

  • 마켓플레이스 소유자가 제공하는 선별된 경험에 따라 공급업체를 고객과 연결하는 것
  • 벤더사를 소유하지 않고 대신 플랫폼을 중심으로 양쪽 업체가 가능한 최고의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중점을 둠

[2-sided market]

  • 두 업체를 연결하고 거래하는 플랫폼
  • 플랫폼 내에서 상호작용하고 거래할 수 있도록 두 개의 그룹을 연결하는 플랫폼 비즈니스
  • 플랫폼에서 마찰 없는 상호 작용과 거래를 가능하게 하는 중개자로서 일반적으로 플랫폼의 두 그룹에 대해 세금을 징수하는 정부 역할을 함

[3-sided market]

  • 3가지 주요 업체를 연결함
주요 산업지표 (북극성 지표)

✅ 고객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가치

✅ 우리 비즈니스를 가장 잘 측정하는 방법과 지표가 무엇인가

  • 이상적인 북극성 지표 (North Star Metric)를 수정하는 것은 비즈니스 모델 및 프로덕트의 성장, 사용 방식에 크게 좌우됨
     
    Customer growth 지불하는 사용자 수
    Consumption growth 단순히 사이트를 방문하는 것 이상의 서비스의 이용 강도
    Engagement growth 단순히 서비스에서 활동하는 사용자의 수
    Growth efficiency 지출 대비 수익 창출의 효율성
    User experience 서비스에 대해 고객의 경험이 얼마나 즐겁고 편리한가

생각 정리

 

  • 이 분야에 몸 담기로 한 이상 관심이 있는 도메인을 알아가는 것도 중요할 것이 중요할 거 같다
  • 마케팅 관련 데이터를 계속 다뤄서 그런지 모르겠지만 마케팅도 꽤 재밌다는 생각이 든다. 흥청망청의 망청을 담당하던 시절이 있어 그런지 돈 쓰는 것에 일가견이 있기도 하고...(장점인가) 내가 맘에 드는 상품을 다른 사람들에게 구매하도록 설득시키는 일도 꽤 잘하는 편이라(동대문 시장에서 일하라는 말도 들어본 1인) 생각보다 재밌는 분야다
  • 지표가 너무 너무 많아서, 지표에 대한 공부도 열심히 해야할 거 같다. 필요한 게 있으면 바로바로 떠올라서 이걸 봐야하는구나 아는 정도는 되야할테니!